논문검색

HOME     자료검색     논문검색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9 no.1 (2024)
pp.1~31

DOI : 10.56023/mcyca.2024.9.1.1

충남 중도입국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생활에 관한 생태학적 해석

김은경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최정윤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이사코바 딜라프루즈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남현미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신유빈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본 연구는 충남 A지역의 중앙아시아 중도입국 청소년이 처한 상황적 조건과 맥락 속에서 그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해석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학생 6명과 학부모 6명을 면담 하여 그들의 가정 및 학교생활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생태체계 단위 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재해석하였다. 그 결과,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물 리적으로는 새로운 환경에 진입하였고, 유기체로서 개인을 형성하는 자아 개념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통합을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밀집한 환경에서 그들은 지속적으로 본국의 언어와 문화에 노 출된 상태였고, 이주자 중심의 커뮤니티를 강화해가고 있었다. 부모의 직 업세계가 자녀의 학업 의지 및 성취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한국의 교육제도 및 문화에 대한 부모의 낮은 이해도가 현 상황(낮은 한국어 실력, 낮은 교과 학업 성취도)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으로는 한국어 교육 지원의 한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 해 드러난 환경적 측면에 주목하여 교육 지원 방안을 논하였으며, 이 연구 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스스로 설정하고 있는 경계의 문제를 어떻게 해 석해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Home and School life of Immigranted Youth in Chungnam Province

Kim, Eun Kyung

Choi, Jeongyoon

Isakova, Dilafruz

Nam, Hyun-Mi

Shin, Yu Bin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lives of Central Asian immigrant adolescents in Region A of Chungnam Province, within their situational conditions and context, and discuss educational support directions for them.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tudents and six parents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in both home and school settings. These were then reinterpreted focusing on components within an ecological framework.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while the immigrant adolescents physically entered a new environment, their self-concepts as organic entities had not yet integrated into this new setting. These adolescents were consistently exposed to their home country's language and culture in a densely populated environment, strengthening a migrant-centered community, thereby hindering the youths' efforts to adapt and integrate into the new cultural sphere. It was noted that parents' occupational worlds influenced their children's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s. Additionally, parents' low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e consistently impacted the current situation, reflected in low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Policy-wise, limitations in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identified. By addressing the environmental aspects revealed in this study, educational support strategies were discussed. The significance lies in raising new issues on how to interpret the boundaries these immigrant adolescents are self-establishing.

Download PDF list